with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틀린 let, with, apply, also, run Scope Functions 범위 지정 함수 - 수신 객체, 수신 객체 지정 람다 두가지 구성 요소를 가지는 함수. 수신 객체와 수신 객체 지정 람다는 어떤걸 의미할까? ex) Human("Kim", 30, "Seoul").let { println(it) it.moveTo("Busan") it.incrementAge() println(it) } 위의 코드에서 Human 객체를 리시버, let 다음의 { } 부분을 람다함수라고 한다. 해당 람다 함수에서 Human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. 해당 함수들을 이용하면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을 쉽게 해주고 코드가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. 1. with() inline fun with(receiver: T, block: T.() -> R): R { .. 더보기 이전 1 다음